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교재 개발 회의(feat. 변종화 세무사님)

본문

2019.12.05(목)

오후 01:00~03:30

스타벅스 라페스타 광장점

 

인천지방세무사회 연수 위원장이시자, 교재 개발 멘토이신 변종화 세무사님을 뵈러 갔다.

 

갈피를 잡지 못하고 방황하던 지난날이여, 이젠 안녕(... 진짜?)

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, "나~ 다시~ 돌아갈~래~!!!"가 아니라 "나~ 다시~ 돌아왔~어~!!!"

 

결국 처음 기획했던 '신입직원의 원천세 캘린더'를 업그레이드하기로 했다.

재등장! 뚜둥!!

역시 변 AI*답게 이미 기획해놓으신 내용이 있었고, 방향 또한 '신입직원의 원천세 캘린더'와 너무 비슷해 나는 회의 내내 연신 '소오~름'을 외쳐댔다.

 

*평소 변종화 세무사님은 로봇설이 있어 변 AI라는 별명이 있으시다.

 이 날도 역시 교재 개발 회의 내용을 정리해놓으신 후 벌써 본인 교재를 쓰고 계셨다.


[회의 내용]

 

□ 교재 컨셉

 

 1. 원천징수 A to Z 즉, 원천징수의 모든 것

  - 원천세는 결코 쉬운 신고 X

    ex. 세무조사 시 상여처분에 대한 원천세 신고/ 환급 신청 등

 

 2. 시간의 흐름으로 정리

  - 1~12월까지

 

 3. 소득세와의 관계

  - 소득세 안의 원천징수가 아니라, 원천징수 안의 소득세

  - 즉, 원천징수를 주인공으로 소득세를 해석

 

교재 내용

 

 1. 이론

  - 전체 분량의 10~20% 정도

  - 단, 요약본으로

 

 2. 실무

  - 시기별 원천징수 토픽 정리

 

 3. 소득세와의 관계

  - 원천징수의 가장 중요한 부분 : 소득을 명쾌하게 구분해내는 것

    ex. 인건비 발생 → 사업소득? 기타소득? 즉, 어떤 소득인지 먼저 구분부터 하여야 함

  - 3.3% 소득자의 종합소득세 상담 등

 

교재 분량

 

 1. 강의 시간 고려(4시간)

  - 150~200 page

  - 너무 두껍지 않아야 하므로 불필요한 것 제거

 

 2. 참고

  - 찾아보는 책 : 1000 page 이상

  - 공부하는 책 : 500 page 이내

 

주의점

 

 1. 대상자를 신입과 경력으로 나누고 시작 X

  - Why? 가장 실력자는 해당 업무를 '바로 어제 해본 사람'이기 때문

  - 따라서, 교재에는 쉬운 내용부터 어려운 내용까지 다 넣어야 함

  - 추후 대상자에 따라 교재 내용을 선택하여 강의하면 됨

 

 Q&A

 

 Q. 여기저기 흩어져있는 원천징수의 법령 정리는 어떻게 하나요?

 A. 세법을 전부 펼친 후 법령마다 원천징수 부분을 뽑아서 정리

 

 강의

 

 1. 대상자

  - 세무사무실 3년 차 미만 직원

 

 2. 시간

  - 4시간

 

 3. 시기

  - 1~5월 상반기 신고 시즌에는 정규 교육 외에는 편성이 어려우므로, 그 이후가 될 것

  - 따라서, 2020년 1월 중 영상 찍어서 미리 업로드

 

 목표

 - (변 AI : 얘야~ 김셈아, 나는 읊을 테니 너는 받아 적거라)

 - 대한민국의 모든 세무사무소 직원들이 나의 교육 영상과 교재를 보는 그 날까지!!!

 - 원천징수하면 김셈!!........................(데헷)


이렇게 회의는 끝이 났고, 그렇게 나는 얼떨결에 날짜까지 잡고 집으로 돌아왔다.

2020.01.07(화).....................화......화이팅!!!

관련글 더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