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9.12.05(목)
오후 01:00~03:30
스타벅스 라페스타 광장점
인천지방세무사회 연수 위원장이시자, 교재 개발 멘토이신 변종화 세무사님을 뵈러 갔다.
갈피를 잡지 못하고 방황하던 지난날이여, 이젠 안녕(... 진짜?)
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, "나~ 다시~ 돌아갈~래~!!!"가 아니라 "나~ 다시~ 돌아왔~어~!!!"
결국 처음 기획했던 '신입직원의 원천세 캘린더'를 업그레이드하기로 했다.
역시 변 AI*답게 이미 기획해놓으신 내용이 있었고, 방향 또한 '신입직원의 원천세 캘린더'와 너무 비슷해 나는 회의 내내 연신 '소오~름'을 외쳐댔다.
*평소 변종화 세무사님은 로봇설이 있어 변 AI라는 별명이 있으시다.
이 날도 역시 교재 개발 회의 내용을 정리해놓으신 후 벌써 본인 교재를 쓰고 계셨다.
[회의 내용]
□ 교재 컨셉
1. 원천징수 A to Z 즉, 원천징수의 모든 것
- 원천세는 결코 쉬운 신고 X
ex. 세무조사 시 상여처분에 대한 원천세 신고/ 환급 신청 등
2. 시간의 흐름으로 정리
- 1~12월까지
3. 소득세와의 관계
- 소득세 안의 원천징수가 아니라, 원천징수 안의 소득세
- 즉, 원천징수를 주인공으로 소득세를 해석
□ 교재 내용
1. 이론
- 전체 분량의 10~20% 정도
- 단, 요약본으로
2. 실무
- 시기별 원천징수 토픽 정리
3. 소득세와의 관계
- 원천징수의 가장 중요한 부분 : 소득을 명쾌하게 구분해내는 것
ex. 인건비 발생 → 사업소득? 기타소득? 즉, 어떤 소득인지 먼저 구분부터 하여야 함
- 3.3% 소득자의 종합소득세 상담 등
□ 교재 분량
1. 강의 시간 고려(4시간)
- 150~200 page
- 너무 두껍지 않아야 하므로 불필요한 것 제거
2. 참고
- 찾아보는 책 : 1000 page 이상
- 공부하는 책 : 500 page 이내
□ 주의점
1. 대상자를 신입과 경력으로 나누고 시작 X
- Why? 가장 실력자는 해당 업무를 '바로 어제 해본 사람'이기 때문
- 따라서, 교재에는 쉬운 내용부터 어려운 내용까지 다 넣어야 함
- 추후 대상자에 따라 교재 내용을 선택하여 강의하면 됨
□ Q&A
Q. 여기저기 흩어져있는 원천징수의 법령 정리는 어떻게 하나요?
A. 세법을 전부 펼친 후 법령마다 원천징수 부분을 뽑아서 정리
□ 강의
1. 대상자
- 세무사무실 3년 차 미만 직원
2. 시간
- 4시간
3. 시기
- 1~5월 상반기 신고 시즌에는 정규 교육 외에는 편성이 어려우므로, 그 이후가 될 것
- 따라서, 2020년 1월 중 영상 찍어서 미리 업로드
□ 목표
- (변 AI : 얘야~ 김셈아, 나는 읊을 테니 너는 받아 적거라)
- 대한민국의 모든 세무사무소 직원들이 나의 교육 영상과 교재를 보는 그 날까지!!!
- 원천징수하면 김셈!!........................(데헷)
이렇게 회의는 끝이 났고, 그렇게 나는 얼떨결에 날짜까지 잡고 집으로 돌아왔다.
2020.01.07(화).....................화......화이팅!!!
기획부터 시작하다_기초 소득세(원천징수) (2) | 2019.12.03 |
---|---|
믿고 까불어 대기_Feat. 일 잘하는 사람은 단순하게 합니다_(1) (2) | 2019.12.02 |
교재 구상안_1차 시도 (2) | 2019.11.28 |
내가 강의라니!! (2) | 2019.11.28 |